청년도약계좌는 만 19세에서 34세의 청년에게 월 70만 원씩 5년 납입 시 약 5000만 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게 정부에서 기여금 및 비과세 혜택을 제공하는 정책형 금융 상품입니다. 가입 조건, 지원 내용,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타는 방법, 연계 혜택 등을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청년도약계좌란? (가입대상, 가입조건, 지원내용, 가입 신청 절차)
1) 청년도약계좌 가입 대상은 만 19세~34세이면서 개인소득 총급여액이 7,500만 원 이하(종합소득 6,300만 원 이하) 가구원수에 따른 중위소득 180% 이하의 조건을 갖춘 청년들이 가입할 수 있는 정책형 금융 상품입니다.
월 70만 원씩 5년 완납 시 = 만기 수령액 약 5천만 원
2) 청년도약계좌는 월 최대 70만 원 납입할 수 있으며, 가입 유지 기간은 5년(60개월)입니다. 만기 시 매월 최대 6%의 정부기여금이 주어지며, 이자소득에 대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납입한 금액과 개인 소득에 따라 정부 기여금이 지급되는 구조를 아래 표에서 자세히 확인해 주세요.
개인 소득 기준 | 기여금 한도(月) |
총급여 2,400만원↓ 종합소득 1,600만원↓ |
기여금 지급 한도(月) 40만원의 6.0% 24,000원 |
총급여 3,600만원↓ 종합소득 2,600만원↓ |
기여금 지급 한도(月) 50만원의 4.6% 23,000원 |
총급여 4,800만원↓ 종합소득 3,600만원↓ |
기여금 지급 한도(月) 60만원의 3.7% 22,000원 |
총급여 6,000만원↓ 종합소득 4,800만↓ |
기여금 지급 한도(月) 70만원의 3.0% 21,000원 |
총급여 6,0000만원 초과 | 미지급 |
3) 또한 청년희망적금 만기자들에게 좋은 소식은 청년도약계좌로 연계할 경우 최소 200만 원부터 최대 청년희망적금 만기수령금으로 일시 납입 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 내용은 아래에서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4) 청년도약계좌의 가입 신청은 매월 초에 취급 은행 앱에서 신청가능합니다. 신청 후 약 2주 동안 서민금융진흥원에서 가입 심사가 이뤄지며, 익월 초에 계좌 개설이 가능합니다. 즉, 가입 신청 후 취급 은행에서 계좌 개설 안내를 받으면 계좌를 만드시면 됩니다.
(단, 1명당 1개의 계좌만 가입 가능하며, 청년희망적금과 중복 가입은 불가능합니다. )
2.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환승 (연계 혜택, 조건, 절차)
1) 청년희망적금 중도해지 않고 만기를 유지한 청년은 청년도약계좌로 연계를 지원받을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혜택은
1️⃣만기액의 일부 금액(최소 200만 원~청년희망적금 만기액 이내)을 청년도약계좌로 일시납입 할 수 있으며, 일시납함에 따라서 일시납입하지 않고 시작한 사람보다 많은 이자를 쌓을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청년희망적금 만기자가 1,260만 원 일시 납입 + 70만 원씩 5년 완납한 사람 vs 70만 원씩 5년 완납한 신규 가입자와 비교하면
• 일시 납입자가 약 최대 55만 원더 받을 수 있습니다.
2️⃣또한 청년희망적금 만기자가 1,260만 원 일시 납입 + 월 설정 금액을 70만 원으로 했을 때 18개월 낸 것으로 인정돼서 19개월 차부터 70만 원을 내기 시작하면 됩니다.
• 이것은 만기일을 당기는 것은 아니며, 만기일자는 5년 만기로 2029년부터 해지 가능합니다.
• 월 설정 금액은 40만 원, 50만 원, 60만 원, 70만 원 중에서 선택 가능하며,
• 계좌 개설 이후 금액 변경은 제한돼 있으니 월 설정 금액을 신중하게 설정해야 합니다.
2)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갈아탈 수 있는 조건은 청년희망적금만기자이면서 청년도약계좌 가입 조건을 모두 충족한 대상자입니다. 일시납입 가능한 금액은 최소 200만 원에서 청년희망적금 만기금액 내입니다.
3) 청년희망적금에서 청년도약계좌로 연계하는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1️⃣은행앱에서 청년도약 계좌 가입신청을 합니다. (1월 25일~2월 16일 기간 내)
• 1월 25일~2월 2일 가입 신청 시 - 2월 22일부터 청년도약계좌 개설 가능
• 2월 5일~2월 16일 가입 신청 시 - 3월 4일부터 청년도약계좌 개설 가능
2️⃣청년도약계좌 일시납을 신청합니다.
• 서민금융진흥원으로부터 받은 안내 문자에 따라서 일시납 금액과 기간정보를 입력합니다.
• 일시납금액 = 월 설정 금액(40, 50, 60, 70만 원 중 선택) X 일시납 개월 수
• 예를 들어, 일시납금액(1260만 원) = 월 설정금액(70만 원) X 일시납 개월 수(18개월)
• 안내기간 내에 정보를 입력하지 못했을 경우, 일시납 불가한 청년도약계좌만 개설 가능합니다.
3️⃣은행앱에서 청년희망적금 만기 해지 합니다.
4️⃣은행앱에서 청년도약계좌 개설을 하고, 일시납을 합니다.
3. 글을 마치며
2024년 청년희망적금이 만기일이 다가오고 있어 만기자들이 환승할 수 있는 상품을 찾아보고 있는 가운데 그중 인기 있는 청년도약계좌 상품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 5년 동안 거금이 묶이는 단점이 있지만,
• 월 납입금액을 1천 원에서 70만 원 내에서 선택 가능하니,
• 중도 해지 하지 않을 만큼 넣어서 정부에서 청년에게만 주는 혜택을 맘껏 누리셨으면 좋겠습니다.
'👍모두의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월드 블라썸 피크닉, 이월드 자유이용권 할인, 이월드 라라랜드 (0) | 2024.04.04 |
---|---|
경기도 청소년 교통비 지원 - 지원대상, 신청기간, 신청방법, 지급방법 (1) | 2024.02.08 |
평창송어축제 기본정보, 오시는길, 텐트 낚시 예약, 비용 (0) | 2023.12.21 |
서울빛초롱축제 및 광화문광장마켓 일정, 오시는길, 프로그램 (0) | 2023.12.14 |
양평빙송어축제 기본정보, 체험, 입장료 (1) | 2023.12.07 |
댓글